Untitled Document
2025. 04. 04 金
로그인 회원가입 스크랩 기사제보
 
 이슈  기획  지방자치  정치ㆍ행정  경제  사회  교육  문화  하하핫  업체탐방  소통만평  
 
시민기자방
 
청소년기자
 
전체기사
기획
    

Home > 뉴스 > 기획
 
하수도특별회계 자생력 극미
▲ 요금현실화율 전국평균치 달성해야 제기능

특별기획 - 상.하수도 요금 왜 오르나

오는 7월부터 익산시 상수도요금이 평균 12.32%, 하수도요금은 평균 17.4% 인상 된다. 가뜩이나 위축된 가계경제에 적신호다. 그 배경을 살펴 상.하수도요금 인상이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편집자 주>
글싣는 순서
상- 상수도
중- 하수도
하- 방향성
하수도 특별회계사업의 자립도를 순수 요금수익을 기준으로 산출하면 24%로 정부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익산시는 올해 181억4천만원의 국.도비를 지원받아 하수개선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영업외 수익이나 기타자본적수입을 제외한 자체수익은 56억5천만원에 불과한데 따른 것이다.
당분간은 국.도비 지원규모가 새만금 수질개선 등 범국가적 차원에서 정해지기 때문에 자립도를 특별회계 경영평가의 직접적인 기준으로 삼을 수는 없지만, 국.도비사업을 제외한 자체영업비용이 111억가량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본적인 비용의 50%가량을 국.도비 보조금에 의존하는 등 자체사업을 새로 벌일 수 없는 수치임을 알 수 있다.
이같은 실정은, 보조금 지원시 투자효율성과 자치단체의 자생력을 중요한 지표로 삼는 중앙정부의 기본 방침에 정면으로 배치된다.
게다가, 하수를 처리하는데 드는 비용과 하수도 요금을 대비한 익산시의 요금 현실화율은, 46.4%로 전국평균 62.5%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처리비용이 톤당 평균 389원이 소요돼 전년 한해 동안 총121억9,800만원을 들였으나, 요금은 톤당 180원으로 책정돼 총56억5,600만원의 하수도사용료수익을 올려 65억원의 결함액이 발생한 것이다.
이는, 지난 2003년 10월에 25%를 인상한 이래 경기불황 등을 이유로 2003년 이후 3년 동안 요금 인상을 보류하는 바람에 초래된 불균형이며, 요금 현실화율을 최소한 50%대로 끌어 올리지 않으면 누적되는 적자를 감당하지 못하는데다 정부의 외면까지 겹쳐 하수관거 설치 등 환경 기반시설 구축사업은 물론 기 추진되고있는 각종 사업들의 차질이 불보듯 뻔한 형편이다.
익산시가 오는 7월부터 하수도 요금을 평균 17.4% 인상하면 54.5%의 현실화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인근 전주시가 지난해 17%를 인상해 57.1%로 끌어 올린 것을 감안하면 약간 미흡하지만, 일단은 하수도특별회계의 숨통이 트이고 대정부 예산 투쟁시 비교적 유리한 고지를 점할 전망이다.
이번, 하수도요금의 업종별 평균 인상단가를 보면, 가정용은 현행 톤당 176.8원으로, 일반용(업무용,영업용,욕탕2종 통합)은 톤당 338.7원으로, 대중탕용으로 변경된 욕탕1종은 240.3원으로 각각 책정됐으며, 산업용은 기업하기 좋은 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5.6%를 인하하여 168.3원으로 책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량이 가장 많은 가정용을 표본으로 삼고, 누진율 적용을 월간 11~30톤을 배출하는 가구(전체대비 70%~80% 점유)를 기준으로 삼을 경우, 톤당 요금이 151원에서 200원으로 인상돼, 가구당 연평균 9,400원의 하수도요금을 납부하게 된다.
소통뉴스 공인배 기자 07-02-16 16:46
  • 상수도 가격인상 불가피
  •    

     
    기획은 아래의 내용을 중심으로 집중 기획하여 년 중 게재합니다.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등의 이슈 전반을 대상으로 하되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모든 정책들의 허와 실을 다룹니다.


    * 경직되고 무사 안일한 지방정부의 공직사회를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집단으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합니다.


    * 단체장의 사조직화되는 지방정부를 견제하면서 부조리한 정책을 집중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합니다.


    * 지방정부의 조직, 행정사무, 현안사업, 국책사업, 복지정책 등을 밀도 높게 진단하고,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면서, 지방 재정 자립도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과 자립도에 걸맞는 예산운용을 지속적으로 주문합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회사소개 | 광고안내 | 기사제보 | 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 기사올림방
    발행소 : 전라북도 익산시 부송동 1120번지 707동 302호(제일5차아파트 상가3층) 소통뉴스
    TEL. 063)837-3773, 837-3445  FAX. 063)837-3883  사업자등록번호 : 403-81-42187   편집국이메일 : sotongnews@empal.com
    (유)소통뉴스 발행인 : 이백순 편집인 : 공인배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전북 아 00009 등록년월일 : 2006년2월2일
    Copyright (c) 2006 SOTONGNEWS.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