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2025. 04. 04 金
로그인 회원가입 스크랩 기사제보
 
 이슈  기획  지방자치  정치ㆍ행정  경제  사회  교육  문화  하하핫  업체탐방  소통만평  
 
시민기자방
 
청소년기자
 
전체기사
기획
    

Home > 뉴스 > 기획
 
부적절 기자 기생환경 제거 절실
▲ 능력 없는 언론 사주, 사이비 기자 양산 중단해야

특별기획 - 구조적인 언론비리

최근 익산시청을 출입하는 특정 언론사들의 기자들이 전격 구속되면서 구조적인 언론비리를 뿌리 뽑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이들 기자들은 특정 건설업체를 상대로 조직적으로 광고료를 갈취해 온 혐의를 받고 있다. 이는, 난립하는 언론사들이 일선 지자체를 출입하는 한지기자(붙박이 주재기자)들에게 경영책임을 할당하는 구조적인 문제에서 기인하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글싣는 순서
상- 부패한 일부언론
하- 전북지방신문의 현주소
권혁남 한국언론학회장은 최근 도내 모 지방지 기고문을 통해 “현재 전북지역에 12개 신문들이 난립하고 있으며, 인구당 신문사 비율로 치면 우리나라에서는 물론이고 세계 최고 수준이다”고 짚으면서, “이런 상황에서 투철한 언론관을 가지고 나름대로 열심히 일하는 건전한 신문들이 고통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나아가, “불량신문이 끼치는 피해는 고스란히 기업과 관공서, 나아가 우리 주민들이 입게 된다”고 설파 한 뒤, “도지사, 시장, 군수들이 지금처럼 사이비 신문들의 눈치를 살펴 관청의 광고 홍보비를 모든 신문에 나눠주지 말고 건전한 언론에만 줘야한다”고 촉구했다.
도내 지방신문의 폐해에 대한 우려는 시민단체와 학계는 물론, 현역 언론인들 사이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관공서와 기관단체에 기생하는 언론인들이 토호세력으로 군림하는 것도 문제지만, 투자할 여력이나 의지도 없는 지방지 사주들이 각 기초단체 주재기자들에게 경영책임을 분담하는 것이 가장 문제라는 지적이다.
게다가, 일부 도내 언론사들은 주재기자들에게 적정 급여를 지급하지 않고 광고수당으로 대체하거나, 신문지대를 과도하게 분담시켜 광고수당 마저도 잠식, 결과적으로 최소한의 생계비도 보장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로 인해 형식적으로 제3의 지사장 명의를 차용하고 있는 일부 주재기자들은 생계는 고사하고 오히려 부채를 지는 경우가 허다하며, 부수입 없이는 도저히 활동을 하지 못하는 사지(死地)로 내몰리고 있는 형편이다.
이번에, 구속되거나 불구속 기소 된 익산시청 출입기자들에게 피해를 입은 건설업체 대표는, “광고앵벌이라는 말은 지나치게 미화된 표현이다”고 말한다. 공갈, 협박, 강탈이라는 말이 오히려 더 잘 어울린다는 것이다.
특히, 장기 계속사업을 수행하는 공사현장은 이들 부적절한 기자들의 타킷이 되고 있다. 한 건설업체 대표는 이와 관련, “특정 신문사에 광고 홍보비조로 100만원을 주면, 수일 내에 기자들이 우르르 몰려 와서 광고를 요구하고, 결국은 1,000만원 이상을 순식간에 강탈당한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이런 식으로 연간 50여차례 돈을 뺏기고 나면 “내가 무엇을 위해 이 짓을 하고 있는가”하고 자문하게 된다는 것이다.
“도내 지방지들의 대오각성과 환골탈태가 절실하다”는 여론이다. 신문사를 운영할 능력이 없는 언론사주들은 스스로 신문사 문을 닫아 더 이상 사이비기자들을 양산하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또, 자치단체를 비롯한 각급 기관단체들은 부적절한 기자들의 기생환경을 과감히 제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무엇 보다, 건전한 언론에 대한 시민적 관심과 지지가 가장 강력한 잡초 제거제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소통뉴스 공인배 기자 08-01-22 17:08
  • 상습 광고료 갈취 기자들 구속 충격
  •    

     
    기획은 아래의 내용을 중심으로 집중 기획하여 년 중 게재합니다.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등의 이슈 전반을 대상으로 하되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모든 정책들의 허와 실을 다룹니다.


    * 경직되고 무사 안일한 지방정부의 공직사회를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집단으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합니다.


    * 단체장의 사조직화되는 지방정부를 견제하면서 부조리한 정책을 집중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합니다.


    * 지방정부의 조직, 행정사무, 현안사업, 국책사업, 복지정책 등을 밀도 높게 진단하고,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면서, 지방 재정 자립도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과 자립도에 걸맞는 예산운용을 지속적으로 주문합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회사소개 | 광고안내 | 기사제보 | 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 기사올림방
    발행소 : 전라북도 익산시 부송동 1120번지 707동 302호(제일5차아파트 상가3층) 소통뉴스
    TEL. 063)837-3773, 837-3445  FAX. 063)837-3883  사업자등록번호 : 403-81-42187   편집국이메일 : sotongnews@empal.com
    (유)소통뉴스 발행인 : 이백순 편집인 : 공인배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전북 아 00009 등록년월일 : 2006년2월2일
    Copyright (c) 2006 SOTONGNEWS.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