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흰잎마름병 방제 서둘러야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연구소(소장 임상종)에서 태풍 ‘갈매기’ 통과 이후 벼 흰잎마름병 발병 상습지 중심으로 발병조사를 한 결과 전북 김제와 정읍에서 병 발생이 확인되었다. 벼 흰잎마름병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병원균은 주로 농수로나 논의 물속에서 증식하고, 벼 잎이 증식된 병원균에 감염되어 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강우가 지속된 고온 다습한 기상조건에서 병의 확산이 빠르고 발병 후에는 방제가 어려운 병으로 발생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벼 흰잎마름병은 2006년도 전국 발생면적이 29,485ha로 2003년의 10,053ha 보다 19,432ha가 증가하여 벼 재배 농가에 큰 피해를 주었고 쌀 품질을 저하시켜 고품질 쌀 생산에 막대한 지장을 준 바 있다. 또한 저항성품종으로 알려진 신동진벼, 주남벼, 동진1호 등의 품종에서도 발생이 되고 있어 세심한 관찰과 예방이 필요하다.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여야 하나, 발병 상습지 혹은 발병 시에는 약제방제를 신속히 실시하여야 한다. 약제살포 시에는 논이나 농수로의 물 보다는 병원균에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나 깨끗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고압분무기를 이용할 때에는 잎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특히 아침 이슬이나 강우 후 잎의 물기가 마른 다음에 방제작업을 실시하여 2차 감염을 방지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