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2025. 04. 03 木
로그인 회원가입 스크랩 기사제보
 
 이슈  기획  지방자치  정치ㆍ행정  경제  사회  교육  문화  하하핫  업체탐방  소통만평  
 
시민기자방
 
청소년기자
 
전체기사
경제
경제일반 극복 할 수 있다 이렇게 해냈다 이것도 필요하다 

Home > 뉴스 > 경제 > 경제일반
 
벼 애멸구 비상! 반드시 방제해야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지난 5월 10일에서 5월 18일까지 12시군의 보리밭에서 채집된 벼애멸구 1,000마리를 대상으로 ELISA 테스트(일명 : 효소항체결합반응법)에 의한 벼 바이러스병 보독충률이 ? 瘠?검정되어 철저한 예방과 방제대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농업기술원에서 이번 검정 결과는 부안지역이 벼 바이러스병 보독충률이 18.6%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정읍 8.6, 순창 7.7, 군산 6.2, 순창 7.7,고창 5.7, 임실 5.6,김제 5.2%순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007년도에 대 발생되었던 부안지역의 경우 계화면은 28%, 하서면 15%, 동진면 12.5%로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향후 이 지역에서는 각별한 예방과 방제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매개해충인 애멸구는 겨울철 논둑 잡풀 등에서 월동하다가, 3월하순부터 신선한 먹이가 있는 보리밭으로 이동 1세대를 경과하고, 2세대 성충이 묘판이나 본답으로 이동하고 이앙 후부터 11엽까지 흡즙하여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유발시킨다.

줄무늬잎마름병은 벼 잎에 황색의 줄무늬와 황화증상을 나타내며 잎이 도장하면서 뒤틀려 쳐지며, 병이 진전되면 황색의 이병부위에서 괴사줄무늬가 나타나고 잎이 고사한다.

줄무늬잎마름병에 이병된 벼는 분얼이 감소하고 이삭이 형성되지 않거나 이삭이 형성되어도 불안전 출수가 되며 대부분 불임이 되어 수확량의 감소를 가져온다고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말하고 있다.

애멸구에 의한 벼 줄무늬잎마름병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본답초기에 논으로 이동해오는 애멸구를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므로 이앙 5일 전부터 당일까지 육묘상자에 적용약제를 뿌린 후 모내기하여 본답초기의 애멸구를 방제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소통뉴스 편집국 08-05-27 17:10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경제는 일반적인 경제관련 소식과 아래 주제를 중심으로 게재 합니다.

중앙정부의 경제관련 정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방정부가 운용하는 경제 정책 분석과 함께 지역 민간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을 모색합니다.

· 극복할 수 있다
다국적 횡포와 대기업의 물량공세, 대형화추세를 극복 할 수 있는 대안을 논의하고, 지역경제의 중심축을 담당하는 재래시장을 비롯한 소매점 등 상업분야와 지역 특산물 및 특화산업의 살길을 찾아봅니다.

·업체탐방/ 이렇게 해냈다
성공한 사례를 집중 조명하여 관련 업종의 후발주자들이 적극적으로 벤치마킹 하도록 선도합니다.

· 이것도 필요하다
지역 낙후분야의 벤치마킹을 위해 시민들이 참여하는 아이템 방입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회사소개 | 광고안내 | 기사제보 | 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 기사올림방
발행소 : 전라북도 익산시 부송동 1120번지 707동 302호(제일5차아파트 상가3층) 소통뉴스
TEL. 063)837-3773, 837-3445  FAX. 063)837-3883  사업자등록번호 : 403-81-42187   편집국이메일 : sotongnews@empal.com
(유)소통뉴스 발행인 : 이백순 편집인 : 공인배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전북 아 00009 등록년월일 : 2006년2월2일
Copyright (c) 2006 SOTONGNEWS.COM All rights reserved.